유용한 상식. 알아두면 쓸모있는.
비만, 대장암. 서로 무슨 연관이 있을까? 본문
* 아래 링크로 구매 시 제게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RKubd/btsLXXbeuSm/PyvpVDdR7KnbxKCmCueDH0/tfile.jpg)
2024년 정부가 발표한 '2022년 국가암등록통계'를 보면 전체 암 중 대장암 발생 비중은 11.8%로 입니다. 암 발생 비중 2위입니다.(갑상선암 12.0%, 대장암 11.8%, 폐암 11.5%, 유방암 10.5%, 위암 10.5%, 전립선암 7.4%, 간암 5.3% 순서)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암 발생률의 10%를 차지할 정도로 유병률이 높은 질환입니다.
대장암 원인
대장암의 발생 원인은 아직 정확히 모릅니다. 다만 70∼90%가 환경적 요인, 10∼30%가 유전적 요인으로 추정됩니다. 환경적 요인은 무엇이 있을까요? 적색육 및 가공식품의 지나친 섭취, 음주, 흡연, 수면 부족, 스트레스 등이 있습니다. 이런 요인들에 더하여 서구식으로의 식생활 변화에 따른 비만의 영향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Im8fL/btsLVFXqkRf/QEtkRO4fMc8lhBkaHYFywk/tfile.jpg)
대장암, 비만 관계 연구 소개
-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교실과 고신대 의대 소화기내과 공동 연구팀이 수행
- 2004∼2006년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1천33만2천397명을 대상으로 진행
- 10년 후 추가 건강검진을 통해 체중 변화에 따른 대장암 발생률을 분석
연구팀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비만과 대장암의 관계를 분석했습니다.
- 10년 후 변화한 체질량지수(BMI,㎏/㎡)에 따라 4개 그룹으로 구분: 5∼20% 증가, 20% 초과 증가, 5∼20% 감소, 20% 초과 감소
- 그룹별 대장암 발생 위험도를 평가
![](https://blog.kakaocdn.net/dn/x3iAg/btsLWMVOlZc/hSiJ4sPYIIT9kYwPu3Mb6k/tfile.jpg)
대장암, 비만 관계 연구 결과
체질량지수가 5% 미만으로 소폭 증가에 그친 남성과 비교했을 때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체질량지수가 5∼20% 증가 그룹에서 대장암 발생 위험 7% 증가
- 체질량지수가 20% 초과 증가 그룹에서 대장암 발생 위험 27% 증가
- 젊은층에서 연관성이 더욱 뚜렷: 체질량지수가 20% 초과 증가 40세 미만 그룹의 대장암 발생 위험도 65% 상승
- 체질량지수가 감소한 여성은 대장암 발생 위험 낮아지는 경향: 체질량지수가 20% 넘게 감소한 40대 이상 여성의 대장암 발생 위험 33% 감소
채소와 과일을 이용하여 일정 기간 속을 비우는 과정인 ‘클렌즈’에 사용하는 음료입니다. 6가지 신선한 과일과 식물 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https://link.coupang.com/a/cbcnQa
그린몬스터 헐리우드 48시간, 947ml, 1개 - 기타 과일/야채음료 | 쿠팡
현재 별점 4.5점, 리뷰 31396개를 가진 그린몬스터 헐리우드 48시간, 947ml, 1개!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기타 과일/야채음료 제품들을 확인해보세요.
www.coupang.com
대장암, 비만 관계 연구 시사점
- 대장암 발생에 비만의 영향 큼. 하지만 성별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음
- 40세 미만 남성은 비만이 되지 않도록 체중 증가 방지
- 정상 체중을 넘어선 40세 이상 여성은 체중을 줄이는 것이 대장암 위험을 줄이는 데 큰 도움(다만 체질량지수 18.5 미만인 그룹에서는 체중 감소가 오히려 대장암 발생 위험을 증가 시킴)
![](https://blog.kakaocdn.net/dn/cABWB0/btsLV4CErkQ/ZmkHJhXEP7ATFkvVYeKOL0/tfile.jpg)
참고한 뉴스
- 2025년 1월 11일 연합뉴스
- 암 발생률 2위 대장암…"40세前 비만 안되게 체중 증가 막아야”
'습관 관련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대 30대 젊은 당뇨 현황과 문제점 (1) | 2025.01.30 |
---|---|
최고의 홈트레이닝 기구는? 런닝머신 vs 일립티컬머신 (0) | 2025.01.29 |
직업과 불면증, 오래 앉아서 일하는 사람이 불면증에 걸릴 위험 높음 (1) | 2025.01.22 |
치매 예방, 유산소 운동이 도움 (1) | 2025.01.21 |
당뇨병 사망 위험 높이는 가구 형태, 1인가구 주의 (2) | 2024.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