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 상식. 알아두면 쓸모있는.

증가하는 청년 백수. 어느 정도일까? 본문

경제 문제

증가하는 청년 백수. 어느 정도일까?

유용한아재 2024. 9. 30. 06:30

 
청년 백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청년 신용불량자도 25%나 급증하고 있습니다.

증가하는 청년 백수. 어느 정도일까?

 

청년 백수 현황

통계청의 ‘경제활동 인구 청년층(15~29세) 부가 조사’에 따르면 최종학교를 졸업(수료·중퇴 포함) 하고서도 3년 이상 ‘백수’인 청년이 2024년 5월 기준 23만 8000명으로 입니다.

증가하는 청년 백수. 어느 정도일까?

3년 이상 취업하지 않고 ‘백수’인 청년

  • 2024년 5월 기준: 23만 8000명
  • 이들 중 34.2%: ‘집 등에서 그냥 시간을 보냈다’고 응답

아무런 구직 활동을 하지 않고 ‘집 등에서 그냥 시간을 보냈다’고 답한 청년들도 많네요. 청년들이 취업을 포기하는 비율이 높습니다.


쉬는 기간에 따른 취업 준비 비율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증가하는 청년 백수. 어느 정도일까?

‘취업 준비를 했다’는 대답

  • 6개월~1년 미만: 54.9%
  • 1년~2년 미만: 50.8%
  • 3년 미만: 45.1%
  • 3년 이상: 34.2%


쉬는 기간이 길어질 수록 취업을 포기하는 청년이 늘어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취업 준비 비율이 가파르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금융권 대출을 제때 갚지 못해 신용불량자(신용유의자)가 되는 청년도 증가합니다. 대부분 1000만원 이하의 소액대출에서 연체가 발생합니다. 연체 금액이 ‘1000만원 이하’인 경우가 6만4624명로 88.1%에 달합니다.


증가하는 청년 백수. 어느 정도일까?

한국신용정보원에 신용불량자로 등록된 20대

  • 2024년 7월 기준: 6만5887명
  • 2021년 말 대비 25.3% 급증


청년층 소액연체를 채무조정 등 금융으로 해결하지만 말고, 일자리 창출 등을 해야합니다.

증가하는 청년 백수. 어느 정도일까?

 관련 포스팅

청년 백수가 증가하는 원인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미취업 청년 증가 이유와 문제점. 청년들이 가고 싶은 일자리가 부족.

청년 인구가 줄어들었는데, 카페나 식당에서 일하고 있는 청년의 수가 오히려 늘었습니다.

usefuleconomy.blogspot.com

참고한 뉴스

2024년 9월 29일 매일경제
https://m.mk.co.kr/news/economy/11127570

“취업할 생각도 없고 그냥 쉬는 청년 백수 24만명”…카드도 못만든다는데 - 매일경제

3년간 미취업 청년 23만8000명 ‘빚수렁’ 20대 6만6000명 “거시적 청년정책 절실”

www.m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