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수치
고령층 일자리 증가, 청년층 일자리 감소
유용한아재
2024. 11. 22. 05:48
최근 증가한 일자리는 60세 이상 고령층 일자리가 대부분입니다. 40대 일자리는 역대 최대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자세히 알아보시겠습니다.
통계청의 ‘2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 기준으로 2024년 2분기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1년 전보다 25만4000개 증가하기는 했습니다.
일자리는 증가했지만, 증가폭은 감소하였습니다. 2022년 1분기 이후 7개 분기 연속 증가 폭 감소입니다.
연령대별로 일자리정보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60대 이상 일자리가 26만1000개 증가한 것을 비롯하여, 50대, 30대 일자리가 증가하였습니다. 반면 일자리가 감소한 연령대도 있습니다.
20대 이하 일자리는 카페, 음식점, 도소매업 경기 부진 영향으로 13만4000개 감소하였고, 40대 일자리는 건설업 경기 부진 영향으로 5만6000개 감소하였습니다.
이렇게 청년 일자리는 줄어들고, 고령층 일자리는 늘어나서 고용의 질이 하락하고 있다는 우려가 존재합니다.
일자리 증가폭이 감소하고 있는 현상의 문제점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60대 일자리는 대부분 정부가 만든 단기 일자리라 지속가능한 일자리가 아니고, 40대는 경제 생산성이 높고, 다른 연령대를 부양하는 계층이라 실직하면 한국 경제에 상당한 불안요인이 됩니다.
참고한 뉴스
- 2024년 11월 21일 중앙일보
- 내수 부진 직격탄…20대·40대 일자리 역대 최대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