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수치

경단녀 재취업 어려움을 보여주는 통계, 여성 고용률 통계

유용한아재 2024. 11. 21. 06:06

경단녀 재취업은 얼마나 어려울까요?


통계청의 ‘2024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기혼여성의 고용현황’을 통해서 경단녀 관련한 통계를 알 수 있습니다. 경단녀 재취업이 얼마나 어려운지 함께 보시겠습니다.

경단녀 재취업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통계

15~54세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여성이 121만5000명이나 됩니다.(1년 전보다 13만3000명 감소) 특히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 여성 비중은 22.7%로,
경단녀 재취업은 얼마나 어려운지 잘 보여줍니다.(1년 전보다 2.2%포인트 감소)


그나마 경력단절여성이 감소한 이유로 정부의 일/가정 양립 정책 확대 등의 영향이 거론됩니다.



다른 경단녀 관련한 통계도 더 있습니다.

경단녀의 연령별 규모

경단녀 중에서는 어느 연령이 많을까요? 15~29세 경단녀가 19.7%를 차지하고, 35~39세는 24.7%, 50~54세는 7.3%를 차지합니다.

경력단절 사유

경력단절 사유 통계도 볼까요?
‘육아’가 41.1%로 가장 많고, 그 밖에 ‘결혼’ 24.9%, ‘임신·출산’ 24.4%, ‘가족돌봄’ 4.8%, ‘자녀교육’ 4.7%가 있습니다.

 

경단녀 감소 방안

경단녀 감소 방안으로는 유연근무제 확대가 있습니다. 또한 이전 경력을 살린 전문적인 교육을 해주는 전문성을 갖춘 재취업 프로그램 지원도 있습니다.



경단녀 관련 통계 뿐만 아니라, 여성 고용률 통계도 있습니다.

자녀 나이에 따른 고용률

자녀 나이에 따라서도 고용률 차이가 있습니다. 자녀 연령이 6세 이하인 경우 고용률이 55.6%로 가장 낮았고,
자녀 연령이 7~12세, 13~17세인 경우 고용률이 증가하였습니다.

 

자녀 수에 따른 고용률

자녀 수에 따른 고용률 또한 차이가 있습니다. 자녀가 1명인 경우 고용률이 63.4%로 가장 높았고, 자녀가 2명, 3명 이상으로 증가 할 수록 고용률이 낮아졌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단녀 재취업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경단녀 관련 통계와 여성 고용률 통계를 통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참고한 뉴스

  • 2024년 11월 19일 경향신문
  • 미성년 자녀 둔 여성 23%는 ‘경력단절’
  • 2024년 11월 19일 국민일보
  • 기혼여성 고용 늘었지만… 자녀 어릴수록 경력 단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