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수치
대한민국의 주택 통계
유용한아재
2024. 11. 19. 10:58
대한민국의 주택 통계 어떨까요? 과연 나는 어느 정도인지 살펴보세요.
보통의 주택 통계
통계청이 발표한 ‘행정자료를 활용한 2023년 주택소유 통계’를 보면, 대한민국의 2023년 평균 주택 소유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건축물대장, 주택공시 가격, 재산세 자료 등을 활용해서 작성하였고, 공시가격 기준이고, 주택을 소유한 가구 대상입니다.
전체적인 통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가구당 평균 소유 주택 수: 1.35채
- 평균 면적: 86.6㎡
- 주택을 소유한 평균 가구주 연령: 57.3세
- 평균 가구원 수: 2.55명
주택을 소유한 인원은 1년 전보다 소폭 증가했습니다.
- 2023년 주택 소유 인원: 1561만8000명
- 2022년 주택 소유 인원: 1530만9000명
- 1년새 30만9000명 증가
가구 형태에 따라서 주택 소유율이 차이가 납니다.
- 가구의 평균 소유율: 56.4%
- 1인가구 소유율: 31.3%
- 비친족가구 소유율: 42.3%
- 한부모·미혼자녀 가구 소유율: 53.9%
그렇다면 집값은 어떨까요? 가지고 있는 주택의 가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23년 가격: 3억2100만원
- 2022년 가격: 3억1500만원
2022년과 2023년 사이에 무주택자와 유주택자 사이의 전환도 있었습니다.
- 무주택자에서 유주택로: 71만9000명
- 반면 유주택자에서 무주택자로: 30만6000명
보유 주택 개수 또한 변했습니다.
- 1채만 소유한 사람: 1327만90000명(85.0%)
- 2채 이상 여러 채를 소유한 사람: 233만9000명(15.0%)
유주택자는 어떤 연령대가 많을까요? 유주택자를 연령대 순서로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50대: 25.2%
- 60대: 22.8%
- 40대: 21.2%
- 70대: 12.0%
주택 자산 불평등을 나타내는 통계
주택 자산 불평등을 잘 나타내는 통계도 있습니다.
- 자산가액 기준 상위 10% 가구 주택 가액 평균: 12억5500만원(1년전보다 약 4000만원 증가)
- 자산가액 기준 하위 10% 가구 주택 가액 평균: 3100만원(1년전보다 100만원 증가)
- 두 그룹의 가격 차이 40.5배
자산이 많은 가구의 주택 가격일 수록 가격이 더 증가한 것이 통계에 나타나 있습니다. 또 자산이 많은 가구일 수록 소유 주택 수도 더 많습니다.
- 상위 10% 가구의 평균 소유주택: 2.37채
- 하위 10% 가구의 평균 소유주택: 0.98채
어떠신가요? 나는 어느 정도인가요?
참고한 뉴스
- 2024년 11월 18일 매일경제
- 상위 10% 가구, 주택 2.37채 소유…하위 10%는 1채도 없어